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ultra argv hunter
- 데이터형
- lob
- pyinstaller
- 마크업 언어
- kostat
- wolfman to darkelf
- 범용레지스터 #레지스터 #어셈블리 #ASM #리버싱 #어셈블리어 #EAX #ESP
- pythoncli
- lob 7번
- argv
- 결측치
- argc
- 자료개방포털
- 쉘코드
- 빅데이터
- 포너블
- orge to troll
- R언어
- 서니나타스
- 써니나타스
- anxi0
- IS함수
- kosis
- mode함수
- pythonexe
- troll to
- lob 10번
- 써니나타스 1번
- lob 9번
Archives
- Today
- Total
ANX1-Z3R0의 불안극복(不安克服)
011. React.memo 최적화 본문
이 또한 memoization의 일환으로, 컴포넌트에 전달되는 동일한 props가 전달됐을 때, 저장된 컴포넌트를 불러오도록 하는 고차 컴포넌트이다. 따라서 props가 거의 항상 변경되는 컴포넌트에는 갱신값 비교에서 계속 false가 될 것이므로, 오히려 비효율적이다.(props값 비교에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게 된다.)
사용법은 간단하다.
그냥 함수를 감싸주면 된다.
const hi = "name";
const hello = () => {
console.log(`hi, ${hi}`);
};
위와 같은 함수를
const hi = "name";
const hello = React.memo(() => {
console.log(`hi, ${hi}`);
})
하면 되고,
이게 컴포넌트 단위일때는
export default React.memo(foo);
하면 된다.
'CODING > [React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3. customHooks (0) | 2020.11.20 |
---|---|
012. useReducer (0) | 2020.11.20 |
010. useCallback 최적화 (0) | 2020.11.20 |
009.useMemo 최적화 (0) | 2020.11.20 |
008. useEffect (0) | 2020.11.19 |
Comments